답변드립니다. |
---|
이준형 |
실제 유산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귀 목장의 경우 전문수의사의 정확한 원인 진단과 상담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유산을 유발할 수 있는 아래의 자료를 참고바랍니다.
============== ▦ 유산(abortion) 1. 정의 생존할 수 있는 태령(viable age)에 이르기전에 살아있는 태아(living fetus)가 자궁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확인가능한 크기의 죽은 태아가 만출되는 것을 말한다. 2. 원인 (가) 물리적 원인(physical causes) ○ 임신 7∼60일령에 자궁내 약물주입시 ○ 임신초기인 30∼60일에 임신진단시 양막낭, 심장이나 혈관파열유발 ○ 임신황체제거시 ○ 심한 자궁염전시, 수송후, 심한 전신병, 임신말기의 대수술후, 투쟁, 혹서 ○ 개복술시 - 심한 스트레스로 2∼8일에 유산유발 - 태아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황체융해유발 (나) 유전적 또는 염색체적 원인(genetic or chromosomal causes) (다) 영양적 원인(nutritional causes) ① 비타민 A결핍 ② 옥도결핍 ③ 셀레니움결핍 (라) 화학적, 약물 또는 독물적 원인(chemical, drug or toxic causes) ① 질산염중독 ② 염화나프탈렌 ③ 만성비소중독 ④ 로코풀 ⑤ 다년생 broomweed ⑥ 스위트클로버 건초 또는 사일레지 ⑦ 소나무잎 ⑧ 맥각중독 (마) 호르몬적원인(hormonal causes) ① 에스트론겐 과다투여 ② 부신피질호르몬제(cortisone, dexamethasone) 투여 ③ 심한 전신병, 영양실조나 기아시, 장기간 심한 사역시, 임신말기의 장거리 수송시 등이 스트레스 유발과 코르티손(cortisone)생산증가를 유발하여 유산가능 ④ 프로게스테론의 결핍 - 임신 40∼180일에 일어나며, 100일이전이 83%의 비율로 특히 높게 나타난다. (바) 감염성원인 및 기타원인(miscellaneous and infectious causes) ① 세균성(bacterial) 및 전염성(infectious) ○ 부루세라병 ○ 렙토스피라병 ○ 캄필로박터병 ○ 리스테리아병 ○ 결핵병 ○ 기타 ○ 소의 산발성유산과 관련 ② 바이러스성(viral) ○ IBR-IPV - 유산은 임신중 어느시기에서도 발생하나, 임신후반기에서 주로 관찰된다. ○ 소 유행성유산 ○ 각종바이러스성 또는 원충성감**** - 전염성간염(rift valley fever, RVF) - 아까바네병 ○ BVD-MD ○ Myxovirus parainfluenza Ⅲ형 ○ 진드기매개열 ○ 오제스키병 ○ 부루텅병 바이러스 ③ 진균성 및 원충성요인(fungal and protozoal agents) ④ 감염성원충성원인 ○ 트리코모나스병 ○ 기타 원충병에 의한 유산 (사) 기타 유산원인 ○ 쌍태 ○ 앨러지(Allergies) 및 과민성(anaphylactic)반응 ○ 자궁임파종 ○ 태아미이라변성 3. 역학(발생) - 모든임신우에서 1∼2%비율의 산발적인 유산은 정상이나, 3∼5%로 발생시는 조사가 필요함 - 유산의 발생율을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젖소는 약 5%, 육우에서는 2∼3%로 추정됨 출처 : 축산연구소 이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