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뉴스

축산뉴스

 

한우시황 (7.15~8.16)
관리자 2008-07-15 1251


한우시황 (7.15~8.16)


   하반기 도축두수 증가·미쇠고기 수입재개 영향

물가상승 따른 소비위축·부산물 가격 하락 우려

미산 쇠고기 수입 위생조건이 2008년 6월 26일 발효 고시되시면 27일부터 미산 쇠고기 검역작업이 시작되어 현재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7월부터는 미산 쇠고기가 본격적으로 시장에 유통될 것으로 예상되나 문제는 미산 쇠고기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소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최근에 소비 시장을 보면 국제유가급등 및 환율 상승으로 인하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쇠고기 소비량에 감소하고 있다. 특히, 일반 서민층이 선호하는 한우 거세우 2등급, 3등급 정육 소비량이 감소하면서 2등급과 3등급가격이 전년동기대비 2등급 89.3% 3등급 76.0%로 가격이 하락했다. 특히 3등급의 경우는 도매시장 부분육 경락가격이 크게 하락하는 것으로 보아 소비가 많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2등급, 3등급 가격하락으로 인하여 등급 간에 수익성 차이는 많이 벌어지고 있으며 실제로 6월 경락가격 기준으로 계산하면 3B등급 지육경락단가를 100으로 보았을 때 1++A시세를 보면 2007년 151.8%, 2008년 194.1%이다. 이러한 현상은 쇠고기 소비시장이 양극화 되면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농장의 출하성적에 따른 수익성도 극명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6월의 시세동향을 보면 미산 쇠고기 재개 및 한우 거세우 학교급식과 소비량 감소로 인하여 한우 비거세우이 2008년 7월 10일 기준 생체 kg당 5천780원으로 크게 하락했다. 또한 한육우 사업에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송아지 입식을 자제하면서 암송아지 수송아지 가격이 하락, 현재는 두당 송아지 가격은 160만원에서 170만원 사이로 거래되고 있는 추세다.

향후 1개월간 한육우 시황을 공급적인 측면으로 보면 ▲하반기 도축두수 증가 및 도체중 증가에 따른 국내산 쇠고기 공급량 증가(도축두수 `08년 6월 누계 전년대비 108.3%, 한우 전년대비 114.8%) ▲한우 거세우 출하두수 증가(`08년 6월 누계 수소 중 거세우 출하비율 67.9%) ▲1+등급 출현율 향상에 따른 고급육 공급량 증가 ▲미산 쇠고기 수입재개에 따른 쇠고기 수입량 증가 (5월 쇠고기 수입량 16,548톤으로 전월대비 84.3% 증가, 전년동월대비 143.3%) ▲전체적인 쇠고기 생산 및 수입량 증가로 공급량 과다 등의 여건이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 측면에서는 ▲정육점 식당 증가로 인한 저등급육(2등급~3등급) 판매 활성화로 한우 소비층 증가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전면실시에(`08년 7월 8일)에 따른 한우 안전성 및 소비량증가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에 따른 선호부위는 공급량 부족으로 인한 가격상승 ▲유통업체 추석물량 준비로 인한 수요 증가 등의 긍정적 요인이 있다. 반대로 부정적 요인으로는 ▲소비자 물가 급상승에 따른 소비위축(특히 2등급~3등급) ▲부산물 가격 하락(전년대비 30%~50% 하락) 등의 측면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상기 공급적인 측면과 수요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전체적으로 쇠고기 공급량은 국내 생산량 증가와 미산 쇠고기 재개에 따른 수입량 증가로 공급량이 과다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물가 상승에 따른 경기 어려움을 소비가 위축되어 소비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량 증가와 소비량 감소로 인하여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며, 한우 거세우 등급별 가격을 예측하면 고급육 1++, 1+는 보합세, 1등급은 보합세,약보합세로 예상되며, 2, 3등급은 약보합세 내지 약세로 예상된다.



출처 : 축산신문 2008년 7월 14일자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