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조국환 |
|
사료가격이 급등하고 있어 한우사육에서의
생산비 절감은 매우 중요한데, 답리작 등 양질 조사료의 생산과 이용은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이다.
청보리 담근먹이는 볏짚보다 조단백질 함량이 높고 가소화 양분 총량(TDN)도
약 64%나 된다. 이 정도 영양소를 가지는 사료라면 조사료라기보다는
강 피류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청보리 담근 먹이는 황숙기에 보리
알곡과 잎줄기를 함께 담근먹이로 제조하므로 영양가가 높다.
거세한우 비육시 조사료로 볏짚과 청보리 담근먹이를 이용하면 볏짚
급여시보다 24%나 더 자랐으며 1kg 비육되는데 필요한 배합사료량도
1.3kg이나 적게 소요돼 배합사료를 19%나 절감할 수 있다. 또 볏짚 급여구보다
출하체중이 24% 더 높았을 뿐 아니라 육질 1등급 출현율도 7% 향상됐고,
육량도 B등급 이상 출현율이 11% 개선됐다.
따라서 가을 파종을 위해 미리 미리 종자와 노동력 투자계획 등을 세워야
한다.강한 제품을 사용한다면 훨씬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축산신문 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