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뉴스

축산뉴스

 

소 ‘트림’ 고심하는 축산농가
관리자 2009-07-10 1646


소 ‘트림’ 고심하는 축산농가


축산부문 온실가스를 줄일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의 지원을 받아 ‘기후변화 대응 지속가능 녹색축산 APEC 국제 워크숍’을 개최했다.

2013년 온실가스 감축 의무화 확실시 … 축산업 ‘위협’

소의 트림·방귀 등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40%를 차지하는 축산부문 온실가스 저감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1995년 교토의정서 협약에 따라 2013년 국내에서도 온실가스 감축 의무화가 확실시되면서 축산업계의 노력이 미흡할 경우 축산업을 위축시키는 위협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일고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축산부문 온실가스 연간 발생량은 570만(이산화탄소)t으로, 농업부문 배출량 1,470만t 중 39%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축 한마리가 매년 트림·방귀와 축산분뇨 분해과정을 통해 내뿜는 온실가스 양만 해도 한우가 1,434.62㎏, 젖소 3,397.68㎏, 돼지 127.79㎏, 닭 2.55㎏에 달한다. 이중 한우와 젖소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데 특히 풀사료를 많이 먹는 젖소는 한마리가 연간 2만㎞를 달리는 소형차와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셈이다.

윤성이 동국대 교수는 “가축의 트림·방귀 등이 규제대상으로 떠오를 수 있다”면서 “올해부터 에스토니아가 소에 방귀세를 부과하고, 덴마크가 축산농가 세금 부담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온실가스 저감이 국내 축산농가에게도 곧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가축 사육중 사용되는 석유·석탄 등도 경영비 부담을 늘릴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지난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펴낸 ‘교토의정서 이행에 따른 농업부문 대응전략’ 보고서를 보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탄소세(30%)를 도입할 경우 비육돈 6.7%, 산란계 6.4%, 번식우 6.2%, 젖소 4%, 비육우 3.2% 등 농가 경영비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박규현 농진청 연구사는 “가축분뇨 처리방법을 개선하고, 첨가제 등을 소에 먹여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농가들의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할 정책적인 조치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강조했다.

축산분야 온실가스 경감을 위한 국제적인 공조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농진청이 7~10일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개최한 ‘기후변화 대응 지속가능 녹색축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국제 워크숍’에서도 이 문제가 주요 사안으로 거론됐다.

미국·캐나다·일본·뉴질랜드 등 12개국 학자와 전문가가 참석한 이 행사에서는 메탄가스 발생을 줄이고, 축산분뇨를 바이오가스 생산에 활용하는 등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출처 : 농민신문 2009년 7월 10일자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