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뉴스

축산뉴스

 

한우 인공수정증명서 보관하세요
관리자 2009-10-22 1883


한우 인공수정증명서 보관하세요


   한우 판별시 외형·모색만으론 구분 힘들어

한우판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판별 소의 인공수정 증명서를 보관하거나 예비등록을 유도해야 농가민원을 줄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우판별사업은 한우의 유전자원 보존 및 쇠고기이력제의 품종확인을 위해 지난 3월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9월 30일 현재 총 59만두를 판별했다. 이러한 추세를 감안하면 연말까지 지난해 예상 물량인 63만5000두를 넘어 약 72만두를 판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한우판별 사업이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판별사들이 한우판별의 애로점을 토로하고 있다. 지난 14일 충남 아산시 소재 도고 글로리콘도에서 개최된 한우판별사업 워크숍에서도 참석자들은 한우판별의 중요 기준이 외형과 모색이기 때문에 농가와의 마찰이 불가피한 상황을 토로했다. 특히 특정 품종의 교잡우의 경우 생김새나 모색이 한우와 구분이 힘들 정도로 비슷해 이 같은 경우 농가민원이 크게 제기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농가와의 민원을 줄이고 한우판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해당 판별 소의 인공수정 증명서를 보유하거나 예비등록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교잡우를 지속적으로 한우와 교배한 이른바 누진교배를 통해 태어난 송아지의 경우 인공수정증명서가 향후 분쟁의 시비를 가릴 중요한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누진교배를 지속적으로 한 소의 경우 분쟁이 발생해 최종 단계인 DNA 검사시 한우로 판별되는 경우도 있어 이 같은 자료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일부 지역의 농가들이 누진교배에서 태어난 송아지의 판별을 요구했지만 어미소가 이미 도태가 됐고 인공수정 증명서도 없어 한우로 판정받지 못하자 수차례 민원을 제기한 사례가 있다.

정용호 한국종축개량협회 한우개량부장은 “한우판별시 분쟁이 생기는 것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해당 소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라며 “이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는 농가들에게 예비등록을 유도하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농가들도 자신의 소의 자료를 보관해 한우판별에 따른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출처 : 농어민신문 2009년 10월 19일자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