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수산식품부- 조직 윤곽 드러나
|
|
|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신설되는 ꡐ농수산식품부ꡑ 조직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농림부와 해양수산부 수산부문이 통합돼 새로 출범하는 농수산식품부는 기존 과수․채소․축산 등 품목별 조직 구성에서 탈피해 본부 중심의 기능별 조직으로 꾸며질 전망이다. 농림부는 지난 16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정부조직 개편안 발표와 함께 기존 농산물 이외에 보건복지부가 담당했던 식품산업정책과 해수부의 어업․수산정책을 통합관리하게 됨에 따라 새로운 농수산식품부 조직 개편방안을 강구 중이다.
아직은 행정자치부, 해수부와 협의 중이고 최종적으로 대통령직 인수위와의 협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협의과정에서 변동 가능성이 많지만 품목별 부서에서 과감히 벗어나 현행 국 단위의 편제를 본부 단위로 확대해 사업별․업무별 기능중심으로 통합관리 하는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기능중심으로 정부부처를 개편한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사고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장관 밑에 차관 2명과 차관보 1명을 두고 제1차관은 정책 분야를 총괄하고 제2차관은 생산 분야를 전담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하부조직은 일단 10명의 정원으로 과를 구성해 4~5개 과를 합쳐 1개 국을 만들고, 국 3~4개가 합쳐져 본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농림부와 해수부의 정원에 따라 과나 국의 수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1급 인사로 꾸며지는 본부는 현재 국제협력본부와 식품산업본부 2개 본부로 나누는 방안과 수산정책을 총괄하는 수산본부를 포함해 3개로 나누는 방안이 있으나 해수부가 3개국을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어 수산본부의 설치가 유력시 되고 있다. 국 편제는 기능별로 나눠 1차관 아래 국제협력본부(국제협력기획관, 원양협력관), 정책총괄국, 기술정책국을 두고, 2차관 산하에 식품산업본부(식품산업국), 경영지원국, 유통관리국, 식량산업국, 친환경농업국, 안전기획관을 두는 직제가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수산본부 역시 수산정책국, 어업지원국, 자원관리관으로 구성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이와 관련 농림부 한 관계자는 ꡒ농어업이 1차 산업에서 벗어나 2차 산업으로 확대돼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생산자 입장에서 바라본 농산물이 아닌 농산물도 식품이라는 소비자 입장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ꡓ면서 ꡒ장기적인 안목에서 품목별로 분산된 정책이나 조직 구성에서 과감히 벗어나 기능별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ꡓ고 말했다.
|
|
|
출처 : 축산유통소식 2008년 1월 28일자 기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