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우 여부 가릴 수 있는 시스템 ‘시급’
|
|
|
과학적 장치 통한 정확한 한우 기준 설정 필요
쇠고기 유통과정에서 한우 여부를 과학적으로 가려낼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축산업계에 따르면 수입 쇠고기와 젖소 고기를 한우로 둔갑시켜 유통하는 행위가 끊이지 않자 관계당국은 한우 판별을 위한 유전자마커를 개발, 이를 활용해 단속에 나서고 있다.
쇠고기 원산지 위반 단속 권한을 가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경우 축산과학원이 2006년에 개발한 한우 판별용 유전자마커를 사용하고 있다. 또 음식점에서의 쇠고기 원산지 둔갑 행위를 단속하는 식약청도 자체적으로 개발한 유전자마커를 활용하고 있다. 이들 두 기관이 개발한 유전자마커는 쇠고기 부정유통을 줄여 소비자들에게 한우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주는 등 한우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상당 부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축산업계에선 아직 한우에 대한 정확한 유전자 지도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여서 이들 유전자마커를 활용해도 정확하게 한우와 비한우를 가려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축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사용 중인 유전자마커는 한우의 털 색깔이 황갈색이라는 점에 착안해 기준을 설정해 놓고 유통 중인 쇠고기(시료)가 황갈색 소에서 유래된 것인지 여부를 가리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도축장에서 검사관 심사를 통해 한우로 판정받은 소라도 유통과정에서 유전자마커로 조사하면 한우가 아닌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이 축산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실제로 2006년 한 지자체에서는 도축과정에서 한우로 판정받아 학교급식에 납품한 쇠고기가 학부모단체의 유전자마커 검사 결과 한우가 아닌 것으로 나타나 책임 소재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전문가들은 한우 유전자 지도를 근거로 한 과학적인 판별이 이뤄지지 않고 생체상태에서 육안으로만 한우를 판정하는 현행 시스템이 계속 유지된다면 이 같은 사례는 수시로 발생, 한우에 대한 소비자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음식점 식육 원산지표시제 확대와 쇠고기 이력추적시스템 전면 실시에 대비해서라도 국가 차원에서 한우 유전자 지도를 만드는 등 한우와 비한우를 과학적으로 가려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근거로 정확한 한우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
|
출처 : 농민신문 2008년 2월 18일자 기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