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지난달 4일 축산농가에게 사료구매자금 1조원을 특별지원하겠다는 대책이 발표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담보 관련 보완책 등 후속 대책발표가 여전히 시행되지 않아 새 정부가 농가 지원책에 대한 관심이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2월말 일반사료업체에 이어 3월초 농·축협사료까지 약 8%의 사료가격 추가인상을 단행해 농가 부도사태는 물론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경북 청도의 한우농가는 “경북 경산의 양돈농가가 사료 가격인상으로 65억원 부도가 발생하는 등 축산농가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축협사료가 이번 달 또 오를 것으로 보여 그나마 나았던 한우농가도 어려움이 직면하고 있다”면서 “인수위가 당초 3월부터 사료구매자금을 지원하겠다고 했지만 아직 소식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번식우 100두를 키우는 이 농가의 경우 지난해 2월 포당 5700원(25kg 기준)이었던 사료값이 1년새 무려 42% 급등한 8100원에 달하고 있다. 한 달 사료비만 500여만원으로 적잖은 금액이다.
대부분의 축산농가들은 이미 금융권과 사료업체 등에게 담보를 잡혀 있어 1조원의 자금이 빛 좋은 개살구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 담보력이 부족한 농가에 대한 대책마련을 요구했고 인수위도 관련 대책을 2월말경 발표하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소식이 없다.
이와 관련 농림부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어떤 방안으로 지원할 지에 대해 관련 부처와 내부적으로 협의 중에 있고 3월 중에 시행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