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료값 폭등, 근본 해결방안 시급
|
|
|
사료값 폭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축산농가들을 위해 사료구매자금보다는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료가격안정기금을 설치하거나 해외 사료자원 개발사업 등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달 29일 국회 도서관에서 서갑원 의원(민주당, 전남 순천) 주최, 축산관련단체협의회 주관으로 열린 ‘사료값 폭등에 따른 축산농가 안정 대책 토론회’에서 토론자들은 안정적인 사료공급기반을 구축하는 게 시급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승호 축단협 회장은 이 자리에서 “사료구매자금 1조 5000억원은 일부 담보 여력이 있는 축산농가에게만 지원 가능해 실질적인 사료값 안정 대책이 될 수 없다”며 “사료안정기금 설치와 해외 사료자원 개발사업 등에 대해 근존적인 해결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서갑원 의원도 “축산농가 생산비의 50%이상을 차지하는 사료가격을 근본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사료기금안정대책’과 ‘해외 사료생산기지개발’ 등의 정부대책이 마련돼야 하며 현 정부 정책의 문제점도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종수 충남대학교 낙농과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 조사료 재배면적 확대와 선물거래 비중을 높이는 방법 등을 제시해 사료폭등에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와 관련 “사료곡물을 사실상 전량 수입하고 있는 우리는 우선 국내 조사료 재배면적 확대 등 국내 부존자원의 이용을 극대화하고 국제 현물거래보다 선물거래의 비중을 높여 가격 변동에 따른 위험을 분산해야 한다”며 “사료가격이 안정될 때 사료안정기금제도를 도입해야 하며 중장기적으로 해외 농업개발을 통해 사료곡물자원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
|
출처 : 농수축산신문 2008년 7월 30일자 기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