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년 12월 축산관측(요약) - 농경연
|
|
|
<한육우>
■ 12월~09년 2월 한우 수소 380~390만원 - 사육두수 감소세로 전환
12월 사육두수 243만 8천두, 09년 3월 238만 두 전망
출하물량 증가로 12월 한육우 사육두수는 전분기보다 1.3% 감소한 243만 8천두
정액판매량 감소로 09년 1~9월 송아지 생산 감소 예상되지만 도축두수는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되어 09년 3월 사육두수는 전분기보다 2.4% 감소한 238만 두
8월부터 산지가격 소폭 상승 반전
사육심리 불안에 따른 출하물량 증가와 추석수요 증가로 8~10월 한우 등급판정두수 23% 증가
9월 이후 미국산 쇠고기 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안전성 문제로 소비는 부진한 편, 상대적으로 안전한 한우고기 선호로 산지 가격 상승에 영향
11월 한우 산지가격 암소 458만원(전월대비 3.6% 상승), 수소 376만원(1.5% 상승)
연말연시 및 설 수요 증가로 가격 소폭 상승 전망
공급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연말연시 및 설 수요 증가로 08년 12월~09년 2월 수소가격 전분기 대비 4.1% 상승한 380~390만원 전망
암소 470~480만원(3.0% 상승), 수송아지 155~165만원(4.5% 상승) 전망
고급육 생산에 집중하여 농가 소득보전 필요
가격 하락국면에서 3등급 가격 하락폭이 가장 크게 나타남.
거세를 통해 고급육 생산에 전념하여 소득 하락을 최소화할 필요
<젖소>
■ 내년 유제품 수입 증가, 우유 소비 부진으로 분유 재고 증가 - 적극적인 우유 소비 촉진 활동 필요한 때
젖소 사육두수 감소 폭 둔화 전망
지난해 2세 미만 두수 감소로 내년 3월까지 사육두수 전년보다 감소할 전망
젖소 도축두수 감소 추세로 사육두수 감소 폭은 둔화 전망
12월 사육두수 44만 4천두(전년대비 2.0% 감소), 내년 3월 44만 3천두(1.3% 감소) 전망
소 값 전망 불투명으로 초유떼기 암송아지 가격 사상 최저인 4만 8천원(11월 20일) 기록
원유 생산량 전년대비 감소 전망, 우유 소비 부진 예상
착유우 두수 감소와 사료 가격 상승에 따른 사료 급여 차질로 생산성 하락 예상
4분기 원유 생산량 52만 2천 톤(전년대비 2.1% 감소), 1분기 53만 8천 톤(1.6%감소) 전망
소비자 가격 인상 후인 10월 시유 판매량 전년 동월보다 6.6% 감소
수입 증가, 소비 감소로 내년 분유 재고 증가 전망
국제 유제품 가격 하락이 예상되어 내년 유제품 수입량 증가 전망
유제품 수입량 증가, 우유 소비 부진으로 내년 분유 재고 증가 우려
적극적인 우유 소비 촉진 활동으로 분유 재고 관리에 신경써야 할 때
<돼지>
■ 12~2월 돼지 지육가격 kg당 4,200~4,400원 - 모돈수 감소로 사육두수 감소 전망
모돈수 감소로 12월, 09년 3월 돼지 사육두수 전년보다 감소 전망
사료비 상승에 따른 농가 폐업 증가로 3~9월 평균 모돈수 8.2% 감소
12월 사육두수 전년보다 4.2% 감소한 920만두, 09년 3월에는 0.6% 감소한 893만두 전망
12~2월 돼지고기 공급량 전년보다 12% 감소 전망
사육두수 감소로 12~2월 돼지 출하두수 전년보다 3.7% 감소 전망
환율 급등,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 등으로 돼지고기 수입량 37% 감소 예상
12~2월 돼지 지육 가격 kg당 4,200~4,400원으로 전망
출하두수, 수입량 감소, 돼지고기 소비 증가로 돼지 지육 가격 급등 전망
12~2월 돼지 지육 가격 전년보다 47~54% 높은 kg당 4,200~4,400원전망(돼지 100kg 기준 28만 6천원~29만 9천원)
광우병 논란에 따른 쇠고기의 소비 심리 불안이 해소되면 가격은 전망치보다 낮을 전망
|
|
|
출처 : 축산유통소식 2008년 11월 25일자 기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