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뉴스

축산뉴스

 

번식농가 체계적 지원을
관리자 2009-02-16 1338


번식농가 체계적 지원을


   암소개량사업 등 세부 추진전략 마련 여론

한우산업의 안정적 기반 마련을 위해 중소규모의 번식농가를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우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정부의 대책 대부분이 비육농가 위주로 추진돼 번식농가가 소외되면서 자칫 한우산업 기반이 흔들릴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업계는 과거 정부의 주요 정책이 브랜드화에 집중되면서 경영체들이 고급육 출현을 주요 핵심으로 꼽았고 최근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일환으로 고품질의 소를 출하하는 농가와 법인에게 품질고급화장려금을 지급하는 등 정책의 초점이 비육농가에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업계는 고품질의 쇠고기 생산에 가담하는 비육농가를 위한 정책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핵심적인 유전능력이 뛰어난 번식농가에 대한 대책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번식농가들이 번식을 포기하거나 암소비육으로 전환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축산물등급판정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우 암소 도축물량은 26만3189두로 2007년 21만1661두에 비해 5만여두가 많이 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가 한우산업발전 대책의 일환으로 지역단위 한우농가 협업체를 육성해 지역 한우 암소개량사업 및 고능력 한우 암소개량센터를 조성하기로 한 것과 고능력 암소 다산을 유도하는 것 등의 정책은 올바른 대책이라는 평가지만 이 대책의 추진을 위한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업계의 관계자는 “생산이력제가 유통단계까지 전면 도입되면 이력을 통해 좋은 송아지를 생산한 농가들을 추적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된다”며 “이를 통해 고능력우를 생산하는 농가들에 대해 지원과 혜택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장기선 전국한우협회 부장도 “이번의 한우종합 대책이 비육농가에서 번식농가 중심으로 전환한 것은 번식농가를 보호한다는 취지로 이해하고 있다”면서도 “좋은 등급을 받는 농가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소를 공급하는 농가들도 평가해서 보상을 하는 것도 원칙으로 정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농어민신문 2009년 2월 12일자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