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뉴스

축산뉴스

 

경북대구한우협동조합<한우왕 한우사업단>선정
관리자 2009-07-28 2266


경북대구한우협동조합<한우왕 한우사업단>선정-한우사업단 기초 135개소·광역 3개소 확정


   농식품부 인증위, 총 7만7천 농가 참여…암소개량·조사료 생산 등 사업 수행

한우 농가의 조직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한우사업단 인증이 확정되면서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23일 ‘기초·광역 한우사업단 인증위원회’를 열고, 기초사업단 인증을 신청한 138개소 중 3개소를 탈락시키고 135개소를 인증했으며, 광역사업단으로 인증을 신청한 4개소 중 1개소를 유보시키고 3개소를 인증했다.

이날 인증위원회에서는 기초 한우사업단의 경우 평가 점수가 70점 미만일 경우 기초 한우사업단에서 인증을 제외키로 함에 따라 70점 이상을 획득한 135개소를 확정했다. 인증을 신청한 단양군과 진도군, 철원군은 아쉽게 탈락됐다.

또 광역 한우사업단으로 인증을 신청한 지리산 순한 광역 한우사업단(전남)과 녹색한우 광역 한우사업단(전남), 참예우 한우 광역 사업단(전북)이 선정됐고, 참품한우 광역사업단(경북)은 유보됐다.

이로써 기초 한우사업단에는 축협주관 125개소, 농가주관 6개소, 조합주관 4개소가 앞으로 일선에서 한우사업의 첨병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한우사업단에 참여한 농가는 7만7천호, 두수는 166만두이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한우사업단을 중심으로 한우정책을 펼치게 되는데, 한우암소개량사업, 축사시설현대화,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 등을 지원하게 된다.

선정된 한우사업단은 다음과 같다.

◇기초 <경기> 가평푸른연인, 광주지구축협, 김포시, 남양주시, 시흥, 양주, 양평군, 용인시, 이천축협, 평택시, 포천시, 임금님표(이천).

<강원> 강릉시, 고성군, 동해시, 삼척시, 속초양양, 양구군, 영월군, 원주시, 인제군, 정선군, 철원, 춘천시,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충북> 괴산군, 보은군, 영동군, 음성군, 제천시, 증평군, 진천군, 청원군, 충북한우조합(청풍순한우), 충주시.

<충남>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당진군, 보령시, 부여군, 서산축협, 서천군, 아산시, 연기군, 예당한우, 예산군, 천안시, 청양군, 충남한우협동조합(서산), 하늘소, 홍성, 홍성한우브랜드.

<전북> 고창군, 군산, 김제시, 남원시, 부안, 순정축협(정읍), 순창, 완주, 익산, 임실, 정읍단풍미인, 지평선, 총체보리.

<전남> 강진들황금, 고흥, 곡성, 광양, 구례군, 나주, 담양, 무안군, 보성군, 순천시, 신안군, 여수, 영광군, 영암군, 장성군, 정남진장흥, 청해진녹색, 함평군, 해남군, 화순자연애.

<경북> 경산시, 경주천년, 고령군, 구미시, 군위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예천군, 우리진키토산, 울릉군, 의성군, 청도, 칠곡군, 포항시.

<경남> 거제, 거창군, 고성, 김해, 남해군, 마산시, 밀양시미량초우, 사천, 산청군, 양산시, 의령군, 진주시, 창녕군, 창원시, 통영시, 하동솔잎한우, 함안군, 함양, 합천군.

<제주> 제주.

<대전> 대전광역시.

<광주> 광주광역시.

<대구> 경북대구한우협동조합, 달성군, 팔공상강.

◇광역 <전북> 참예우. <전남> 지리산순환한우, 녹색한우.



출처 : 축산신문 2009년 7월 27일자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