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높은 송아지값, 농가 경영 부담으로
|
|
|
한우가격의 상승세로 한우농가들이 예상치 못한 호황을 누리고 있는 것이 사실. 하지만 마냥 웃고 있을 수 만은 없는 실정이다. 송아지 가격은 비육농가 생산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이다. 송아지 가격의 상승은 곧 생산비 상승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높은 송아지가격은 안정적인 농장경영에는 부담이 된다.
오늘 당장 송아지를 입식하더라도 최소 2년이 지난 후에야 결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그때까지 마냥 좋은 가격이 유지될 것이라는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농가로서는 비싼 송아지가격은 부담스러운 것이 당연하다. 호황은 곧 불황의 징후라는 말처럼 업계에는 불안감이 감돌고 있다.
일부에서는 올해 정액 판매량이 크게 증가해 내년에는 송아지 생산이 수요보다 높아 송아지 시세가 크게 떨어지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시세가 높을 때 번식률이 높아지고, 시세가 낮을 때 번식률이 낮아지는 악순환이 이어지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높은 가격은 유통에도 부작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실제 유통업계에서는 한껏 오른 한우고기 가격으로 인해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토로한다.
한 중도매인은 지금 가격으로 한우고기를 유통해서는 수지를 맞추기 어렵다. 실제 올 초 1++등급을 살 수 있는 돈으로 지금은 1+등급은 고사하고 1등급도 사기 어려운 상황 이라며 중도매인들의 자금압박이 심각하다고 털어놨다. 그는 또 시장가격이 높아져 산지에서 출하시기를 앞당겨 소를 내는 조기출하현상도 빚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같은 등급이라도 출하월령을 지키지 않는 소는 맛과 풍미가 떨어진다며 최근 경락가격이 높아 농가들이 출하월령을 앞당겨 1~2개월 이상 빠르게 출하하고 있어 좋은 한우고기를 구하는데 애를 먹는다고 덧붙였다. 지금의 한우가격상승은 과잉수요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다.
과잉수요에 원인이 있는 만큼 어느 누구도 한우가격을 조정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 문제다. 과거에는 쇠고기 수입량을 늘려 국내 쇠고기 가격을 조정했었지만 현 상황에서는 이 또한 쉽지 않다. 수입육과 시장차별화를 이룬 한우고기의 시세는 수입량과는 별도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
|
|
출처 : 축산유통소식 2009년 8월 20일자 기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