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뉴스

축산뉴스

 

사료값 대책 요구 ‘한목소리’
관리자 2008-03-17 1309


사료값 대책 요구 ‘한목소리’


   주요 축산단체, 농림수산식품부에 정책제안

축산단체들이 농림수산식품부에 제출한 정책제안에 사료값 안정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한우와 낙농·양돈·양계 등 주요 축산단체가 11일 농수식품부에 제출한 정책제안에 따르면 최근의 국제 곡물값과 유가 상승으로 인한 사료값 인상이 축산농가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며 안정된 값에 사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들은 사료값 상승의 문제점으로 △배합사료 곡물의 해외 의존도가 높고 △현재의 국제 곡물값 상승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며 △축산물 생산비 가운데 사료값 비중이 절반 수준을 차지해 사료값 문제 해결 없이는 국내 축산농가 경영불안으로 축산기반이 흔들릴 우려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이들 단체들은 그 대책으로 사료값 안정을 위한 사료안정기금 조성과 사료 물류비 지원, 세금 감면 등의 대책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사료 곡물의 수입선 다변화 및 해외 사료원료 곡물 생산기지 건설, 사료원료 곡물비축제 도입 등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이명박 정부가 약속한 1조원 지원대책과 관련해 사료 구매자금 무이자 융자지원 때 농신보 특례규정을 적용해 최소 3년 이상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한우협회와 낙농육우협회는 조사료 생산도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부족한 조사료 재배면적 확보를 위해 휴경지에 조사료 재배단지를 마을단위로 조성해 세제를 지원하고, 경종농가와 연계한 조사료단지 임차비 지원, 조사료 생산을 위한 장비 지원, 간척지 등의 낙농단지 조성을 위한 제도적인 장치 보완도 요구했다.

이와 함께 축산단체들은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 해결, 브루셀라 청정화를 위한 국가보상 책임 강화, 도축세 폐지 및 도축장 구조조정, 원유 수급 안정을 위한 낙농제도 개선, 우유 학교급식 제도화, 낙농시설 현대화사업 지원, 양돈 생산성 향상 대책, 가축분뇨 처리 근본대책 수립, 양계 의무자조금 추진, 공정한 달걀값 형성 대책 등을 제안했다.



출처 : 농민신문 2008년 3월 17일자 기사




다음글 사료값 폭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