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사병이란 음식물(소화물)의 소화관 통과시간이 짧아지거나 수분흡수가 감소하여 분변 속의 수분량이 증가하고 배분량과 횟수가 증가하는 것이다. 설사병은 음식물에 대한 체내 거부반응,
즉 일종의 체내 방어작용이지만 계속되면 탈수증, 대사장애, 영양장애, 체온저하가 나타나 죽게 된다. 설사병은 병원균의 감염여부에 따라 감염성 설사와 비감염성 설사로 구분할 수 있다.
좌, 우로 이동 가능합니다.
구분 | 발병원인 | 발병기전 | |
---|---|---|---|
직접적 원인 |
비감염성 | 유질 불량, 대용유의 급격한 교체 과잉급여, 장관 과민증, 대사 장애 스트레스에 의한 자율신경기능 이상 등 | 섭취한 수분이 장관에서 충분히 흡수되지 않고 통과 (흡수 및 소화 불량성 설사) |
감염성 |
|
몸속의 수분이 장관 벽을 통하여 장관 속으로 유출(분비성 설사) - 탈수발생 |
|
간접적 원인 | '그림1' 참조 | 비감염성 설사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감염성 설사 유인 |
<표 1> 설사병의 발병원인 및 발병기전
<그림 1> 설사의 간접적 원인
송아지는 11∼20일령에 발병률이 가장 높은데 초유의 효력이 떨어지고 송아지 자신이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기까지는 위생관리(청결)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특이한 사항은 비감염 설사도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